본문 바로가기
마음 개발

간절한가? 그냥 원하고 있는가? 차이를 만드는 7가지 방법

by 맴찟 2025. 2. 12.

간절함-욕망-원함-소망-차이-만드는-방법
간절함

간절함을 확인하는 방법과 실행 전략

- 우리는 종종 "이 목표를 정말 간절하게 원하는 게 맞을까?" 고민한다. 하지만 진짜 간절한 사람과 단순히 바라는 사람의 차이는 분명하다. 간절한 사람은 변명을 찾지 않고, 방법을 찾으면서 끝까지 행동한다. 지금부터 스스로 점검해 보고, 실행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. 

 

1. 간절함이란 무엇인가?

간절함이란?

- 어떤 것을 매우 강하게 바라고 원하는 마음

- 단순한 희망이 아니라, 목표를 반드시 이루려는 절박한 상태 

- 실패하더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실행하는 힘 

사전적 의미 

- 간절하다: 마음속에서 몹시 바라고 원하는 상태 

즉, 간절함이란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, 목표를 위해 강렬하게 원하고 행동하는 상태를 의미한다. 

2. 나는 지금 간절한 목표가 있는가?

1) 이 목표를 생각하면 가슴이 뛰는가?

2)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희생도 감수할 수 있는가?

3)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의지가 있는가?

4) 목표를 이루기 위한 실행을 매일 하고 있는가?

5) 이 목표를 이루지 못하면 후회할 것인가? 

6) 남이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고 있는가?

7) 목표를 이룬 후의 모습을 선명하게 상상할 수 있는가?

 

5개 이상 'YES' -> 당신은 정말 간절하다! 끝까지 밀어 붙이자!!
3~4개 'YES' -> 간절함이 부족할 수도 있다. 동기부여를 강화하자
2개 이하 'YES' -> 이 목표가 정말 원하는 것인지 다시 고민해 보자.

3. 간절함을 키우고 실행력을 높이는 방법 

1)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

- "돈을 많이 벌고 싶다" X -> "내년까지 월 500만 원 수익을 만들겠다"

- 수치화된 목표, 기한이 있는 목표가 간절함을 높인다 

2) 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때의 상황을 상상한다

- "이걸 못 이루면 나는 어떻게 될까?"

- 절박함이 강할수록 간절함도 커진다 

3) 목표를 매일 떠올리고 다짐한다

- 비전보드를 만들거나, 목표를 종이에 적어 매일 보며 동기부여 

- 매일 스스로에게 "나는 반드시 이룬다!"라고 다짐하기

4)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

- 목표를 이루기 위한 실행 계획을 만들고, 즉시 행동으로 옮기기

- 작은 행동이라도 매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

5)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가?

- 간절한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

- 실패할수록 더 강해지며, 반드시 다른 방법을 찾아낸다 

당신은 얼마나 간절한가?

1) 지금 내가 원하는 목표는 무엇인가?
2)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오늘 나는 무엇을 실행할 것인가?
3) 나는 정말 간절한가, 아니면 그냥 바라고만 있는가? 

- 당신이 진짜 간절하다면, 오늘부터 실행이 달라질 것이다. 

 


관련 글: 바쁜데도 마음의 여유가 있는 사람 비밀, 나도 그렇게 되는 방법

 

바쁜데도 마음의 여유가 있는 사람 비밀, 나도 그렇게 되는 방법

바쁜데도 여유 있어 보이는 사람 비밀 + 롤모델 닮아 가는 방법 - 비슷한 스케줄을 소화하는데도 어떤 사람은 여유가 있고 배려심 있게 보이고, 어떤 사람은 늘 마음이 조급해 보인다. 게다가 가

everything-more.tistory.com

 

관련 글: 끌어당김의 법칙, 원하는 것을 현실로 만드는 실전 방법

 

끌어당김의 법칙, 원하는 것을 현실로 만드는 실전 방법

더보기  끌어당김의 법칙: 실용적인 활용법과 구체적인 적용 사례- "끌어당김의 법칙"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마음속으로 그려내고,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통해 현실로 만들어가는 개념이다.

everything-more.tistory.com

 

관련 글: 삶을 단순하게 만들어 주는 '내려놓음' 실천 방법

 

삶을 단순하게 만들어 주는 '내려 놓음' 실천 방법

삶을 단순하게 만들어주는 '내려놓음' 방법- 내려놓음은 단순히 포기하는 것이 아니다. 오히려 마음을 가볍게 해서 더 나은 선택과 방향을 찾는 과정이다. 우리는 삶 속에서 너무 많은 짐을 지고

everything-more.tistory.com